사이트 로그인
반갑습니다, 코난입니다.(_ _)
며칠전,
기상청의 남해 근해 동부, 중부지역의 파고, 풍속, 수온, 물때등을 고려, 안정적일
날이 될것이라 판단한 날을 골라 오름 무리를 예상, 세번의 출조를 다녀 왔습니다.
허나 첫날,
기대와 달리 도착후 오후 10시까지 강력하게 불어오는 북서풍 맞바람으로 말미암아
황금시간대인 초저녁과 이어진 중들물을 놓쳐버린 아쉬움으로 낚시에 임해야 했습니다.
수심 만조시 평균 10.5m 간조시 약 9.3m 들날물 조고차 120cm, 그리고 1호 막대찌..
바람이 조금 죽은후 힘겹게 서너시간의 낚시에 위안이랄것도 없는 20~23센티 감성돔
무리들을 만나 올리는 족족 방생, 더 큰 녀석들을 기대했으나 새벽이 깊어져도 별
다를바 없는 씨알들로 말미암아 막판엔 이마저도 취하지 않으면 안줏거리도 없다 싶어
몇 마리는 동행한 조우와 함께 먹었음을 시인 합니다. 완패..
(다만, 막판 대형급 호랙이 있음을 확인한 조우의 수고로움으로 숙회를 맛볼수 있었습니다.)
둘쨋날,
첫날의 실패는 예년관 달리 올 감성돔 무리들이 한물때, 약 보름정도는 더 늦어질것이라는
판단을 했기에 두 번째 출조는 방향을 바꿔 보다 남서쪽, 홀로 다른곳을 찾아 보았습니다.
이마저도 제 예상과 달리 밤바다에 추적추적 봄을 알리는 보슬비가 간간히 뿌리는 가운데
비록 가공할만한 놈을 만나진 못했지만 운좋게도 전반적으로 씨알이 괜챦은 녀석들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40 턱걸이 세 마리, 30오버급들 여덟 마리. 26급 단 한 마리..
아니나 다를까 이 녀석들은 보다 안정적인 수온 즉, 약 15미터권에서 올라온 고기들이며
밤을 새야 하는 강행군과 아직은 차가운 밤바다의 고독과 맞서 싸운 결과물들 입니다.
2호 막대찌, 여부력 3b를 완전히 없앤 섬세한 채비 운용, 쉼없는 수심과 채비의 미세 변화.
셋쨋날,
첫날 같던곳에 아직은 미련이 남아 있었던 조우와 그래도 혹시나 하는 기대감으로 일주일후 다시 찾은
첫날의 바로 그 장소.. 지금 감성돔이 된다고 알려진 곳들 마다의 많은 낚시인들과의 칼싸움을 피해
유유자적히 낚시할수 있는곳. 알려지지 않은.. 아무도 잘 찾지 않는 한산권역 섬 방파제.
마침 바다에 떠있던 양식장의 제법 많은 선상배들로 말미암아 기대는 한껏 고조 되었으나..
어둠이 내린 이후 거의 밤을 지새운 철야 낚시에도 올라온 것은 전주에 비해 그나마 조금 나아졌다고는
해도 중들물부터 중간조에 이를때까지 올라온것은 고만고만한 사이즈, 25턱걸이들..
거의 스무여마리.. 이렇게 셋쨋날의 낚시를 아쉬움속에 끝내고 돌아왔습니다.
결론적으로 둘쨋날 감성돔들중 특히 체고가 높고 배가 불룩 나와 포란이 의심되던 녀석들의 배를
가르니 웬걸.. 그게 모두 굉장히 두껍게 쌓인 하얀 지방층이었다는걸로 봐선 이제 얼마후 알을
품기 위해 지금쯤 최대한 몸집을 불린 상태라는 사실을 확인 할수 있었습니다.
수온 반등기 4월의 즈음, 앞으로 본격적인 “오름”이 시작 되려나 봅니다.
.
인낚의 닉네임도, 디낚의 닉네임도 신경쓰지 않아 잘 모르지만 동낚의 닉네임은 잘 알고 있는 사람입니다.
감성돔의 습성이 어떤 것인지, 물때의 흐름이 어떻게 순환되는것인지, 조차의 높 낮이가 물때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는지, 밑밥을 어떻게 뿌려야하는지, 고기를 어떻게 모아야 하는지, 미끼는 어떻게 쓰야하는지...
모든 것을 분석하며 낚시하는 당신은 감성돔 낚시의 최고입니다.
우와!
저번달에 쯔리겐이랑 갈도 가서 쯔리겐이 55,50,46 3마리 낚는것 봤는데 엄청나던데
코난님도 대단하시네요. 겐이 코난님 자랑도 많이 하던데 역시입니다.
오름감시들이 죽~죽~ 올라와서......
마산 앞바다에도 바글바글 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코난님 얼굴 잊어먹기 전에 볼 수 있을텐디..ㅎㅎㅎ
정말 앞으로 길이길이 해마다 그럴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이 오름, 내림 감시들을 마산에서 볼수 있는날도 머쟎다는 생각에 착잡합니다.
" 구산면 반동리와 구복리 일원 1,148,120㎡"
위 광범위한 넓은 지역에 마산 로봇랜드가 조성 된답니다.
물론 인근 지역도 도로망이나 조경 사업등으로 많은 변화가 예상 되고요.
그 안에 품고 있는 자연 조건, 그리고 마산 바다 생태의 변화는 불가피 할테지요.
전해 들은 바로는 이미 구복지역의 양식장들은 보상이 진행되고 있다는 얘기로 들렸습니다.
인공과 소음, "개발의 논리"로 말입니다..
더러 한창 점화되었던 "마산 준 혁신도시"에 대한 보상은 아닐까하고 혼자 생각해 보기도 합니다.
결코 낚시인이어서 하는 얘기가 아닙니다.
적어도 산야와 바다는 대대손손 변치 않음 얼마나 좋을까 하는겁니다.
그건 과거로부터 그래왔듯이 미래의 후손들에게 물려줄 "빌려 쓰고 있는 자연"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과연 무엇이, 어떤것이 잘하는것 인지 정말 잘 모르겠습니다. 에혀~
고생 마이했다.
좋은 소식 게속 올리도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