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대찌 기본지식에 대해 글을 올리겠습니다
낚시대가 아작나서 못하는 학생 낚시인이지만 막대찌는 조금 압니다.
우선 막대찌는 3가지로 나뉘죠.
자립, 비자립, 반자립
막대찌의 장점: 찌가 슬림하기 때문에 예민하다.
단점: 구멍찌처럼 조류를 잘 타지 못한다
자립: 말그대로 스스로 알아서 찌가 서버립니다. 찌를 아작내어서
만약 속을 본다면 속은 기다란 찌맨 하중에 봉돌이 물려있어서
찌가 스는 것입니다. 그러니 물론 원투능력도 뛰어나고요. 하지만 낚시를
하다보면 던지다 엉키는걸 못보고 채비가 내려갔는지 안내려갔는지 모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점은 단점이라 할수있겠지요..그리고 채비를 던져 조류를 타고 흘를때
다른 막대찌에비해 채비가 안정적으로 잘흐릅니다..
비자립: 비자립은 스스로 할수없는 찌입니다 그러므로 찌속을 본다면
그냥 민물낚시 찌처럼 찌속에 봉돌이 없습니다. 걍 나무로 되어있겠지요
그러니 던졌을때 원투가 잘안됩니다 하지만 채비가 제대로 내려갔는지
안내려갔는지는 찌가 스냐 안스냐에 따라 알수가 있지요
그리고 비자립찌는 조류에 따라 흐를경우 약간 자립찌에비해 불안정적인
경향이 있습니다
만약 비자립찌를 멀리 던지고 싶을경우에는 비자립은 호수가 큰것도 있으니
호수가 큰걸로해 봉돌무게를 크게해 원투하는것이 멀리 던지는 방법입니다
마지막 반자립: 반자립은 비자립과 자립찌의 사이라고 보시면되겠죠
속을 까보면 봉돌이 중앙쯤에 위치하여 찌가 반만습니다 슬랑말랑...
그러니 원투능력도 어느정두 되고요... 조류도 잘타는것같고 그리고 채비가
정렬이 되어있는지 안되있는지 알수 있지요...
그러니 반자립이 가장 좋다고 통상적으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제생각에는 자립이 원투가 되고 가장 안정적이기 때문에
자립찌가 좋다고 생각합니다 채비가 엉켰느냐는 날라갈때
눈을 똑바로뜨고 응시하시면 잘볼수 있습니다....
주간에는 막대찌가 좋은걸 실감이 나더군요
하지만 야간에는 도통 엉가사서 찌랄이더군요
야간에 좋은 방법이 없을 까요...........................................
2007.03.20 19:04:01
하윤아빠
방법이있지요
구멍찌를 막대찌로 개조하면좋지요..
예민하고 원투성도좋고요
저는 직접 개조해서 써보고 성능을 확인했어요...
2007.04.13 06:27:36
추봉펜션호
ㅎㅎㅎㅎㅎ
모르는 사람이 보면 정보죠
하찬은 것 일지라도 혼자 터득한다는건 많은 세월이 흘러야 하니깐
2007.04.13 20:15:33
볼킴원
영 이해가 ????????????????????????
2007.06.01 10:56:07
이거이
자립-던지다 엉키는걸 못보고 채비가 내려갔는지 안내려갔는지 모르는 경우가 있습니다-해결책이 없는건 아님니다,,던지고 난후 입수되기전에 원줄을 조금만 스톱해 주면 채비가 잘 정열 됨니다,,또한 착수되면 찌를 조금은 당겨 주어야 채비꼬임이 없어지죠,,,그리고 채비가 완전히 다 내려가면 목줄에 물려둔 작은봉돌의 무개로 찌가 그 무게만큼 조금 더 내려 감니다,,그때가 완전히 채비가 정열된 것이니,,,조금더 안내려 간다면 채비정열에 문제가 잇다고 보면 됨니다,,
2007.06.01 10:59:18
이거이
자립찌 사용에 채비 정열이 잘되엿는지 않되는지는 낚시 하다보면 (조금은 경력이 필요 하겟죠),,,,자연 알게 되는 부분인것 같으네요,,,,,초보자님들은 분별이 좀 힘던 부분이긴 하죠,,,ㅎㅎㅎ때로는 포인트 여건상 약 30~40미터 이상 원투를 쳐야 하는데,,,,자립 아니면 도저히 포인터 까진 어립도 업죠,,,,찌가 안날라가면고기도 포기해야 하죠,,,,ㅎㅎㅎ
하지만 야간에는 도통 엉가사서 찌랄이더군요
야간에 좋은 방법이 없을 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