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인트, 바람,수온,물색, 밑밥, 채비..., 그러나 가장 먼저 알고 있어야 하는 것 중  하나가 물때입니다.
물때를 이해하기 위한 용어 정리바다낚시에 있어 ‘물때를 모르면 고기를 못  낚는다’는 말이 있습니다.
바다낚시의 조과는 물때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물때를 잘 알고  이용하는 것은 또 다른 낚시의 즐거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물때를 이해하기 위하여는 우선 용어를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간조 와 만조 : 바다에는 하루에 2번씩 간조와 만조가 있습니다.간조는 가장 낮은 물 높이까지 빠져나간 때,
썰물 끝 상태이며 만조는 이와 반대로 가장 높은 물 높이가 되었을 때, 밀물 끝 상태를 말합니다.

조차 : 만조와 간조시해수면 의 높이 차를 말합니다. 갯바위에 섯을 때 패류가 군집하는 곳과 그렇지 않는 곳이 구별된됨니다.  
즉 만조선이 뚜렸하게 보이는 곳이 많으며 조차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조차는 한사리(음력 보름과 그믐께의 미세기) 때는 크게, 조금 때는 차이가 적습니다다.  

사리 : 음력 매달 보름(음력 15일)과 그믐(음력 30일) 날에,  조수가 많이 들고 나는 데 이때를 사리 때를 말합니다.  
조금 : 사리의 반대 현상입니다. 조차가 적은 날을 말하며 대개 음력 매달 8일과 23일에 있습니다.

월령 : 달이 차고 기울고 하는 정도를 말합니다. 음력 초하루부터 어느 때까지의 시간을 평균태양일수로 나타냄니다.  
일조부등 : 같은 날, 두 번의 만조 또는 간조의 높이가 서로 같지 않은 현상을 말합니다.
삭망 : 삭일은 음력 초하루, 즉 달이 거의 안 보이는 날이고 망일은 보름 때.
평균수면 : 하루, 한달, 혹은 1년 동안 변화하는 해면의 높이를 평균한  것을 말합니다.  

물때(조석)
갯바위에서 낚시를 하다 보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다 속에 잠겨있던  수중여가 해면 위에 나타나 점점 그 모습이 커진다든가
또는 그 반대로  수면 위에 보였던 간출여가 바다 속으로 잠겨가는 것들은 누구나  경험하는 일이 있습니다.
이와 같이 해면은 잠시라도 일정한 수준에 머물러  있지 않고 시각이 경과해 감에 따라 끊임없이 움직입니다.
이  움직임은 여러 가지 원인이 복합하여 일어나는 것이지만 주로 천체,즉 달과 태양에 의하여 유기되는 해면의 주기적인
오르내림으로써 물때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지구는 태양의 주변을 돌고  있고 달은 또 지구 주변을 돌고 있습니다.
지구가 태양의 주위를 돌듯 달이 지구의 주위를 돌면서 인력을 작용시키며 그 시간은 달의 공전현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니다.
예를 들면 한반도의 동쪽에 위치한 부산지방에  달의 인력이 작용하는 시간이 00시라고 가정하면
서쪽에 위치한 진도에서 달의 인력이 작용하는 시간은 이보다 6시간 정도 늦은 아침 06시경이 됨니다.
이는 달이 인력이 부산에서 진도까지 이동하는 시간이 6시간 정도 걸린다고 생각하면 쉽게 이해가 갈 것입니다.

또한 지구의 영향으로 달은 그 모습이 매일 바뀌어 감니다.
그믐밤은 달이  없으며 상현과 하현달은 반달인 반면 보름은 둥근 만월이 됨니다.달의 모양에 따라 인력이 다르게 작용하므로
바닷물을 크게  움직이기도 하고 작게 움직이기도 해 밀물과 물의 표고 차가 커지고  조류의 움직임 폭도 커져 바닷물의 같은 장소라고 각각 다르게 움직입니다.

월력 과 물때
물때와 월력은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변하고 있습니다.
위에서 간략히 언급하였지만 음력 8일,23일은 조금, 보름과 그믐은 사리라고 합니다.

대조및 소조
연달아 일어나는 고조면과 저조면과의 높이의 차를 조차라 하는데,  조차는 장소와 시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니다.☜♣♣  
★동낚인★
♣낚♣시♣인♣이♣주♣인♣이♣되♣는♣공♣간♣자♣유♣의♣공♣간♣열♣린♣공♣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