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로그인
동낚회원님들께 오랜만에 조황 올립니다.
이제 봄기운도 많이 무르익나 봅니다.
호래기를 쫓아 거제, 통영, 한산도를 돌아다니다 보니 어느덧 계절이 바뀌었더군요.
목표 어종도 바꿀 겸 원전 도다리 상황이 어떤지 탐색차 출조하였습니다.
현재는 원전 물밑 사정이 그리 좋지는 않아 보입니다.
잡힌 도다리들이 너무나 차가웠습니다.
도다리 낚시에 릴낚시보다는 손으로 하는 일명 실래기가 대세더군요.
아직은 도다리들이 동면에서 깨지는 않은 듯합니다.
음력 이월이 지나면 도다리 시즌이 본격적으로 시작 될 듯합니다.
오랜만에 대방동님과 함께 출조를 강행하였으나
그리 많이는 잡지 못하고 30여수 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아침 날씨가 괜찮아서 조황도 좋을 듯 하였으나 오후 들어 강풍이 몰아치고 물발은 아주 세었습니다.
이는 모두 개굴**님께서 출현함으로 인한 것이오니 혹시 낚시 가셨던 분들께 대신하여 심심한 사과의 말씀 드립니다.
현재 도다리는 오전 7시부터 오후 1시경이 되고 이후는 입질이 뜸합니다. 채비는 실래기로 하시되 바늘은 동산바늘 7호나 8호 정도 되어야 입질이 낫더군요.
고패질은 필수고요. 제가 보기로는 현재 원전에 도다리는 전체적으로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씨알은 그리 크지 않습니다. 일명 새꼬시 하기 좋은 크기의 도다리들이 주로 물더군요,
그래도 가실 땐 많이 잡는다 생각 마시고 즐긴다는 마음으로 하시면 마 음이 편할 듯 합니다.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크니까요.
사진은 대방동님이 한 컷 해주셨습니다. 감사감사.
이 세상에 사람보다 중요한 것은 어디에도 없다.
추사님 역시나 "도다리 " 킹왕짱?으로 잘~~잡으시더군요 ㅎㅎ
원전실리도 도다리는 오전중에 잡아야 하고 낚시채비도 만들진것 말고 봉돌을 물살 셀때는 추가로 더 달수 있는
채비로 하셔야 하고 바늘도 11~7호 사이로 왔다갔다 바꾸어야 하고요
추사님은 실내끼로도 릴낚으로도 잘만 잡으시더군요 실내끼를 추천합니다
하지만 예민한 입질로 도다리가 그리 활성화하여 저절로 잡히지는 않더군요 ^^
미끼도 청갯지렁이(일명 청개비)와 홍갯지렁이 (일명 홍개비)를 병행하셔야 합니다
단순 청개비로 예민한 입질이나 도다리 활성치 않을때는 별무소용이더군요
특히 저는 홍개비로만 10여수 가까히 했습니다
허나 추사님은 예민한 입질파악? 잘하시여 청개비로도 잘 잡으시긴 하더군요
오전에 입질이 집중되었고 오후에는 심한 바람과 흐린날씨로 춥고 힘들고 하여 조황이 좋지 못했습니다
역시나 도다리낚시 아침일찍가서 부지런히 열심히 하는 방법 밖에 왕도는 없더군요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많은 동낚인들께서 출조하셨지만 안타깝게도 ..... 조황이 모두 좋지는 않았습니다
(동행출조하자고 약속한것은 아니고요 현장 땟마배 근처에서 만나 분들이 있었습니다 )
같이 가셔서 고생하신 추사님에게 감사의 드립니다 ㅎ~~
여하튼 이놈의 원전 징크스는 깨기 힘들다니깐. ㅠㅠ
사진 좀 넣어 조황 올리려고 출발부터 사진찍기 시작했었는데 도저히 사진 찍을 장면이 더 이상은 안나오더군요.
원전 마을분들 얘기에 의하면 요즘은 물이 차가운 관계로 도다리들이 한 곳에 모여있답니다.
그곳을 찾아야만 먹을만큼 잡을 수 있다네요.
전혀 입질이 없으면 조금씩 이동을 하는 것이 필수인 듯 했습니다.
저희 팀 합이 여덟 수였는데 은자***님 팀이나 뽈ㅇㅇ님 팀 모두 비슷한 조과였던 것으로 압니다.
저는 퇴각하는 길에 홍ㅇ수산 인근 육상에서 한 곳에 몰려있던 도다리떼를 운좋게(?) 만나...... ㅠㅠ
집에서 힘들게 열심히 회떠서 맛있게 먹었습니다...만... 차라리 회로 떠서 가져갈 걸 그랬나? ^^;;
많이 잡으셨네요.저는 토욜날 갔는데 돌맹이 끌어올린다고 아주 쌩똥을 쌌읍니다.어제처럼 바람심하고 거센파도는 낚시하고는 처음입니다.아주 시껍잔치 했읍니다.뽕돌을 달고또달고 거의40호이상 만들었는데도 떠내려가더군요.둘이서 일곱마리하고 오기전에 고마 썽글어서 한재까치 했읍니다.그래도 꼬시던데요.ㅎ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