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로그인
겨울 신진도 방파제 우럭낚시 팁
서해권 낚시 비수기는 12월부터 이듬해 5월 초까지 이어집니다. 이 시기에는 수온이 5~8도로 매우 낮아 연안에서의 낚시는 거의 이뤄지지 않지만, 딱 한 곳에서만큼은 유일하게 굵은 씨알의 우럭을 낚을 수 있는 장소가 있습니다. 수도권, 충청권 루어꾼들이야 아는 내용입니다만, 모르는 분들이 더 많아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겨울에 방파제
우럭낚시가 안 된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뜻밖에 많습니다. 오늘은 저와 함께 겨울철 방파제 우럭낚시 팁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제가 한창 신진도 낚시에 열을 올렸던 2005~2007년 때입니다. 서해에서 낚시가 불리한 겨울, 영등철(1월~4월)에도 신진도에서는 유일하게 고기가 나와 이유를 알아봤는데 공통점이 있더군요. 여기에는 꼭 필요한 전제가 있습니다. 이 전제가 아니면, 서해권에서 겨울 방파제 우럭낚시 팁은 별 소용이 없을지도 모릅니다. 그 전제란. 1.
충남 신진도(안흥항)에만 적용 된다. |
충남 태안군에 소재한 신진도는 수도권에서 2시간~2시간 반이면 갈 수 있는 곳으로 생활 낚시터도 좋지만, 사실 침선낚시가 더 유명한 곳입니다. 비록 지금은 어족자원의 감소로 과거 명성에 비해 덜하지만, 우럭과 대구 침선 낚시의 메카임에는 분명합니다. 생활 낚시는 가을이 호황을 맞습니다. 방파제에서는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고등어와 학꽁치를 낚을 수 있으며 가족 단위로 찾아와 야영을 즐기는 인구도 늘어 요새는 많이 북적거립니다. |
어한기인 1~4월 사이에 방파제서 낚시는 우럭
#. 겨울에 신진도에서 우럭낚시가 가능한 이유 1. 깊은
수심
2. 신진도 방파제
환경 방파제 우럭낚시도 이러한 맥락에서 겨울 낚시가 가능한 이유이지 않나 싶습니다. 3. 루어낚시가 절대
유리 #. 우럭 루어낚시 채비 |
우럭 루어낚시 채비도
기본적인 우럭 루어낚시의 채비도입니다. 그림에서 오해하지 말아야 할 것은 두 갈래 채비라는 의미가 아닌, 두 가지의 방법으로 사용한다는 것이니 착오 없으시기 바래요. |
어차피 겨울에 방파제에서 루어낚시를 할 정도라면 가족 동반이 아닌 전문꾼들이 많으므로 자세한 채비와 공략은 생략합니다. 다만 주의사항이라 한다면, 서해권 테트라포트 특징이 있는데 신진도 방파제도 테트라포트에 굴 껍데기가 많이 붙어 있습니다. 이는 물속에 잠겨있는 테트라포트도 마찬가지인데 채비 회수 시 원줄이 여기에 닿지 않도록 신경을 많이 써야 합니다. 많은 꾼이 여기서 채비분실을 합니다. 안 걸리고 안 터트리는 게 최선이지만, 전문꾼들도 굴 껍데기가 붙은 테트라 앞에선 채비분실을 피할 수 없습니다. 오실 땐 지그헤드와 웜을 충분히 준비하기 바랍니다. #. 겨울철 신진도 방파제의 우럭 낚시에서 적당한 물때는 언제? 신진도 방파제는 외해권의 영향으로 조류가 정말 강하기로 유명한 곳입니다. 어지간한 봉돌도 데굴데굴 굴러갈 때면 조류가 죽을 때까지 손을 놓고 있어야 할 때도 잦지요. 물때를 안 보거나 잘못 맞춰서 오면 어렵게 출조한 시간이 헛수고가 되니 아래 첨부하는 물때표를 잘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4년 1월 신진도(안흥항) 물때표
신진도 뿐 아니라 서해권 낚시는 '조금' 때가 유리합니다. 물때표를 보면 좌측에 원령 표시가 되어 있는데 보름달과 그믐달에는 물발이 새고 고저 차가 크므로 조개잡이로 활용하시고, 반달(상현, 하현)은 조금 물때에 해당하니 낚시 출조일로 활용하면 됩니다. 붉은색으로 표기한 날이 조금 물때의 영향을 받는 날로 게 중에서 파란 선으로 표기한 시각이 방파제 우럭 낚시에서는 적기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물때표에서 간조(▼)표기가 된 시각을 기준으로 한두 시간 전에 진입해 낚시를 시작하면 됩니다. |
예를 들어 1월 9일 간조가 16:10분이라고 나와 있다면, 이때가 해수면이 최고 낮을 때이며 이 시각을 기점으로 물이 들어오게 됩니다. 이때 방파제를 찾으면 물이 다 빠져 있는 상태(위 사진)이며 이때부터 초들물이 받치기 시작하면서 우럭의 입질 빈도가 높아집니다. 물론 활성이 좋을 때 이야기이며. 날이 안 좋거나 수온, 바람의 영향으로 아예 입을 닫아 버리는 날도 있습니다. 방파제 우럭 낚시는 간조가 되기 한두 시간 전에 미리 진입해 낚시를 시작하는 게 좋으며, 간조를 거쳐 약 두 시간 후인 초들물까지만 보고 빠져나오는 게 좋습니다. 이후 물이 30% 이상 차기 시작하면 조류가 빨라 공략이 어려워지며, 그때는 쉬었다가 만조가 되면서 조류가 죽는데 이때부터 두 시간가량 이어지는 초썰물까지 입질 타임이 반짝 이어지기도 합니다. 공략
지점은 수몰된 테트라포트 근처를 잡는 게 좋지만, 직접 그 부근을 스치면 밑걸림이 잦아 채비 분실이 많아집니다.
영등철과 봄철은 이른 새벽보다 초저녁이 유리한 편입니다. 보통
바다낚시는 해 뜨는
새벽부터 오전 9시까지를 피크타임으로 보지만, 수온이 낮은 겨울과 봄철에는 새벽 시간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 또 하루
중 가장 추운 시간이므로 낚시의 집중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 기상 겨울 낚시에서 기상을
논하지 않으면 물때가 맞고 채비가 좋아도 아무 소용이 없겠지요. |
#. 한겨울 신진도 우럭 방파제 낚시 포인트 뭐니뭐니해도 건너편
마도 방파제(흰 등대)보다는 신진도 방파제(빨간 등대)에서 루어낚시가 많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내항 쪽에는 가두리 양식장이 있는데 그 부근에서도 루어낚시가 많이 이뤄집니다. 빨간
등대 테트라포트는 겨울철 대표적인 루어낚시 포인트로 꾼들에게 매우 인기가 높은 포인트입니다. |
위 사진으로 설명한
곳이 바로 10번 포인트이며, 내항 쪽 가두리 양식장 포인트는 11번이 되겠습니다. |
#. 테트라포트 낚시 주의 사항 일반인들은 웬만하면
낚시하지 마시기 바래요. 테트라포트 잘 타는 분들만 하시기 바랍니다. |
정말 아찔합니다.
미끄러지면 기본이 뇌진탕입니다. |
4월에 잡은 방파제 우럭
#. 질의 응답 Q : 겨울철 동해와
남해의 방파제에서는 낚시가 안 되나요? 테트라포트 구멍치기로는 볼락이나 우럭과 같은 락피쉬를 잡을 수 있고 외해권 방파제에서는 확률은 낮아도 감성돔을 낚기도 합니다. Q : 겨울철
방파제에서 낚시할 때 가족동반은 힘듭니까? 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낚시하는 동안 가족들은 방파제에서 벌벌 떨고 있어야 합니다. (그렇다고 가족들을 펜션에 놔두고 혼자 낚시하는 것도 좀 그렇죠?) Q : 낚시하러 왔는데
바다가 얼어있으면 어떡하나요? Q : 서해권
방파제에서 루어로 잡을 수 있는 어종은 우럭뿐인가요? Q : 겨울철
수도권에서 신진도 말고는 낚시할 수 있는 장소가 없나요? Q : 겨울철 가족과
함께 하는 낚시가 있다면 소개해주세요. 로 '산천어 축제' 혹은 '빙어낚시 축제'가 열리는데 그편이 낚시체험으로 좋으니 참고하기 바랍니다. |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