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로그인
열기 낚시 방법(3) 쿨러 조과를 위한 낚시 팁
열기, 볼락 시즌을 맞아 '쿨러 조과의 지름길'에 관해 알아보고자 한다. 시리즈로 편성해 글을 발행할 예정이다. 아래 목차를 확인해 주시기 바라며 이 장에서는 열기 낚시 방법(3)으로 열기 낚시 잘하는 팁과 더불어 '쿨러 조과를 위한 낚시 팁'에 관해 알아보았다.
<<열기 낚시 방법 목차>> 3) 열기 낚시 잘하는 팁 '쿨러 조과를 위한 낚시 팁' |
채비는 배가 포인트로 이동할 때 만들어 놓자
■ 쿨러 조과를 위한 열기 낚시 팁 #. 첫
번째 → 부지런해야 한다. 제일 처음 현장에
도착하면 출조점에 가는 게 아닌 자신이 타야 할 배를 찾아 원하는 자리에 쿨러는 놓는 것부터 시작한다.
여수권의 경우 포인트 이동 시간만 2~3시간이 걸린다. 그 시간에 뱃전에서 떨기 싫으면 남보다 일찍 도착해 선실에 미리 자리 잡는 게 아무래도
낫다. 하지만 두 발 쭉 뻗고 편히 가는 건 인원이 적을 때다. 자리가 비좁아지면, 절대 눕지 말도록 하자. 되도록 우리가 모두 노력해야 한다. 채비는 배가 포인트로
이동하는 중에 만들 필요는 없다. 도착시각 30분 전, 미리 나와 만들면 된다. |
입수 직전, 신호가 떨어지기를 기다리는 필자의 아내
#. 두 번째 → 선장의 규칙에 따르고 에티켓을 지키자. 선상 낚시에서 선장의
신호는 곧 법이다. '삐'하고 신호가 울리면 다 함께 채비를 입수해야 한다. 높아지는 만큼 봉돌 호수도 통일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채비 엉킴과 밑걸림은 사리 물때일수록 잦아지고 낚시도 까다롭다.
자리 운도 따른다. 옆 사람을 잘 만나야 그날 낚시가 편하다. 채비가 엉키면 다짜고짜
짜증부터 내는 사람이 있는데 이 글을 보는 분들은 그러지 않았으면 좋겠다. 채비부터 끊는 에티켓을
발휘해 보자. 상대가 봉돌을 잃었다면 갖다 주는 너그러움도 필요하다. |
참고로 입수는 멀리 던지지 않으며 바로 밑에 던진다. |
#. 세
번째 → 밑걸림을 당하면 빨리 빠져나온다. 단자는 플러스 마이너스로 되어 있는데 이게 표시가 잘 되어 있지 않다. 만약 꼽았는데 작동이 안 되면 바꿔서 꼽으면 된다. 전동릴은 모델에 따라 구조가 다르지만, 사진의 모델을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1)
On/Off 전원 버튼
복잡하다면 4번과 6번만 기억하도록 하자. 밑걸림 대처 방법은 세 가지 유형에 따라 다르다.
1)
산호초에 걸린 경우
이 중
1~2번이 흔하다. 처음 밑걸림이 생기면 1번을 염두에 둬야 하므로 낚싯대를 강하지 않게 탁탁 쳐주기만 한다. 낚싯대를 일자로 펴서 뒤로 당겨주면 된다. 이때 원줄은 장갑을 꼈다 해도 손으로 잡지 말아야 한다.
※
조류가 빠르면 위 과정을 할 새 없이 순식간에 줄이 팽팽해져 당황할 수 있다.
<TIP> |
<사진2> 거치대를 사용해 고패질하면 자세가 한결 편해진다.
#. 네
번째 → 입질이 없으면ㅡ 고패질 패턴을 바꾼다. 이때부터 고패질에 들어가는데 그 범위는 1m에서 많아야 3m 정도다.
만약 옆에서도 고기가 안 나오는 등 활성도가 저조하면 고패질 범위 줄이는 게 좋다. 그 날 수온이 차갑거나 바닥층에서만 입질이 있다면 고패질이 되려 독이 될 수 있다. 아예 안 하는 것도 요령이다. 어차피 배는 상하로 움직이므로 낚싯대를 붙잡고 있어도 자동 고패질이 되니 이것을 충분히 이용하자. 반대로 활성도가 좋다면, 고패질 범위를 높이도록 하자. 수온이 좋은 날 열기나 볼락이 부상하는 경우가 더러 있다. 바닥층만 고집했다가는 오히려 입질을 못 받는 수가 있으니 고패질 범위를 높여 유영 수심층을 찾는 게 관건이다.
#.
다섯 번째 → 한 번의 입수에 최대한 많이 낚는 게 좋다. 얘네들은 호기심이 많아 동료들이 대롱대롱 매달려 흔들고 있으면 오히려 몰려드는 습성이 있다. 활성도를 부채질하는 좋은 방법은 몇 마리 매달렸을 때 잠시 두는 거다.
그것으로 챔질 효과가
난다. 입질 신호는
'드르륵'하고 손으로 전달되므로 느끼는 건 어렵지 않다. |
#.
여섯 번째 → 미끼 꿰는 동작이 빨라야 한다. 바늘에서 뺀 열기는 쿨러에 넣지 말고 그냥 바닥에 놓자. 입수 신호가 오면 채비를 던진다. 보통 외줄낚시 평균 수심이 50~60m가량이니 채비 내리는 시간만 20~30초 이상 걸린다. 그 사이 바닥에 나 뒹구는 열기를 쿨러에 넣으면 된다. 너무 조업스러운가? ^^; 사실 열기 낚시의 목적이 그런 게 아닐까? 유유자적한 낚시를 하려면 갯바위나 방파제를 찾아야 할 것이니 말이다. |
<사진 3>포인트 이동 시 추는 표시된 자리에 놓아야 안전하다.
#.
일곱 번째 → 포인트 이동을 빼면 내 채비는 항상 물속에 있어야 한다. 남이 낚시할 때 낚시를
못 하고 채비를 손볼 때가 많은 것이다. 신호가 떨어지면 적어도 내 채비는 물속에 있어야 한다. 포인트 이동 중에는
<사진 3>처럼 낚싯대를 야무지게 걸어 놓고 추는 정해진 자리에 놔야 한다. |
<그림 1>조류 방향을 보면 A는 수심이 낮아지고 B는 수심이 깊어지는 상황을 맞게 된다.
#. 여덟 번째 →
바닥을 수시로 확인하는 게 쿨러조과의 지름길이다. 열 번 가면 그중 일곱은 이런저런 이유로 고기들의 활성이 안 좋다. 초심자는 봉돌이 바닥을 찍으면 1m쯤 감아올려 고패질만 한다. 그것도 거의 습관적으로. 배는 천천히 움직이는데
수심이 깊어지든 낮아지든 상관없이 고패질만 하다 밑걸림을 당하기도 한다. 베테랑 꾼은 수시로 변하는 수심층을 읽어내며 낚시한다. 열기나 볼락 낚시는 여밭에서 하는데 여밭(암초지대)은 울퉁불퉁하며 곳에 따라 기복이 심할 때도 있다.
<그림
1>에서 보면 조류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른다고 가정할 때 A는 그대로 두면 밑걸림을 당할지도 모를 위기에 처했다. 운 좋으면 빗겨갈
수도 있다. 하지만 추가 무언가에 부딪히는 느낌이 들면 재빨리 감아 밑걸림을 피해야 할 것이다.
상황1)
고패질 도중 봉돌이 땅에 부딪히는 느낌이 든다 → 재빨리 낚싯대를 들어 올려 1~2m 정도 감아 올려준다. |
#.
열기 낚시 팁을 마치며. 쿨러 조황을 거두면 최소 100마리 이상 잡아야 하는데 들어간 비용(선상만 12만 원) + 노동력에 비할 순 없지만, 지금 이시기 마트에서 20cm 열기
한 마리가 9,000원이라 찍힌 전표를 보고는 생각이 달라졌다. 한 번 가면 한 달 반찬 걱정 없는 열기 낚시. 그 풍성한 조과를 매번 마다 거둘 순 없지만, 이 계절에 도전해볼 만한 가치는 충분하다 |
잘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