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로그인, 회원가입후 더 많은 혜택을 누리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닫기

화분 하나 들여놨을 뿐인데… ‘기(氣) 찬 우리집’

2005.11.01 11:21

행복 조회 수:203 추천:17

     =========  화분 하나 들여놨을 뿐인데… ‘기(氣) 찬 우리집’ =========

집안으로 들어 온 풍수   '풍수 인테리어'에도 기본은 있다

▲ 풍수 인테리어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조화와 균형이다. 밝은 조명은 생기를 주고,
화분은흉기를 흡수해 실내 에너지의 균형을 잡아준다.

누구나 원하는 것은 가족의 건강과 행복, 그리고 자신의 성공이다. 미국에서도 풍수 인테리어가 관심을 끌 정도로 풍수 인테리어는 이제 익숙하다. 무조건 ‘운’에 기대는 게 아니라,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균형을 유지하는 일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를테면, 집은 남향집이
가장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 방향은 생기가 지나치게 넘칠 경우 불안정이란 의미도

지닌다. 따라서 이 기운을 적절히 눌러주는 것이 풍수의 원리다.
다음은 기운 찬 공간을 만드는 기본 규칙.

조명은 집안에 생기를 준다. 전등갓이 제대로 씌워져 있는지, 안 들어오는 전구는 없는지
살핀다. 침실을 제외하면 조명은 밝은 게 좋다. 특히 현관에는 밝은 조명을 고른다.

주거 공간의 나쁜 기운을 없앨 때 가장 쉽게 자주 이용하는 것은 바로 화분. 집에서 튀어나온 모서리, 오목하게 안으로 들어간 곳, 모양이 이지러진 곳, 어두운 곳처럼 기의 흐름이
안 좋은 곳에는 화분을 두면 나쁜 기운을 흡수한다.

가구와 그림, 장식용 소품 등은 기의 흐름에 영향을 미친다. 새로운 가구를 들였으면,
대청소로 전체적인 기의 흐름을 안정시킨다.

창고나 다용도실, 베란다의 양끝, 기둥이나 모서리 옆 등에 물건들을 쌓기 쉬운데,
이러면 흉한 기운이 감돌고 가족 화합이 어려워진다. 이런 곳은 보조 조명이나 화분 등으로

기운을 조절해주는 게 좋다. 특히 수험생 방이나 침실 바로 옆에 있는 베란다에는
가급적 물건을 쌓아두지 않도록 한다.

화분을 놓기가 어렵다면 작고 예쁜 풍경이나 소리 나는 모빌을 걸어놓고 지나칠 때마다
건드려 소리를 내도 도움이 된다. 빈방은 기운을 유실시키므로 사용하지 않은 채 비워두는 방은 없는 게 좋다. 불가피할 경우 매일 청소를 하고 낮에는 문을 열어 자주 환기를 시키면
기의 순환을 도울 수 있다.

출입문이 문틀과 잘 맞지 않는다거나, 여닫을 때마다 삐걱거리는 소리를 낸다면 속히 수
리한다. 찢어진 벽지나 부서진 가구도 꼼꼼하게 살펴 바로 잡는다.

청명한 소리를 내는 풍경이나 종, 싱싱한 화초와 화분 등은 활기 찬 기운을 불어넣는
풍수 인테리어를 할 때 매우 중요한 소품. 식물의 생동하는 에너지는 일상과 공간에 건강함을 불어넣고 푸른 기운은 정서적 안정에 도움을 준다. 또한 여름철 창가에 화분을 두면 실내 온도를 낮출 수 있다.

하지만 식물을 단지 공간의 기운을 조절하겠다는 목적으로 사다 놓고 때가 되면 물을 주는 정도의 관리만 한다면 식물 또한 그 정도의 에너지밖에 내뿜지 않는다. 반면 애정을 갖고

관리한다면 더욱 튼튼하고 활기 찬 에너지를 공간에 전달한다. 실내에 놓을 식물은 가장의 키를 넘지 않는 것, 싱싱하고 건강한 것, 모양이 뒤틀리지 않은 것을 선택한다.
간혹 관리가 쉽기 때문에 인조화분을 고르기도 하는데, 현관이나 욕실처럼 볕이 들지 않는 곳을 제외하면 공간의 기운을 조절하는 데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1]거실 - 동쪽 거실일 땐 베이지색 소파

가족이 모이는 장소이며 손님을 맞이하는 장소라는 점에서 거실은 중요한 의미.
동쪽 거실의 소파는 베이지나 황토색으로 한다. 움직임이 있는 모빌이나 풍경 같은 소품을 두면 활기가 커진다. 가족 중 건강이 안 좋은 사람이 있다면 동쪽 창에
흰 화분에 심은 벤자민을 둔다.

서쪽은 경영 능력이나 사업 수완을 높이는 기운이 강하다. 가구는 중후한 느낌의 앤티크가 좋다. 커튼이나 블라인드를 이용해 창은 항상 반쯤 가리고, 커튼은 연한 청색이나
회색•연녹색이 어울린다.

남쪽은 기획력과 재능을 발휘하게 한다. 전체는 차가운 계열 색으로 꾸미고 빨간색으로
포인트를 준다. 커튼은 연한 녹색 계열이 좋다.

2]침실 - 부모•아이사진은 부부운 나빠져

침실의 기운이 균형을 이루면 건강은 물론 부부 금실까지 좋아진다. 기본적으로 침대 머리는 창가를 향해 배치하고, 벽면에는 평화로운 느낌의 풍경화를 걸고, 가구나 소품이 창문을 가리지 않도록 한다.
부부운이 좋아지려면 돌아가신 부모님 사진이나 어린 자녀의 사진은 두지 않는 게 좋다.

3]현관 - 좋은 기운 부르려면 항상 깨끗하게

그 집의 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장소로 꼭 필요한 기운만 들어오고 나쁜 기운은 들어오지 못하도록 항상 깨끗하게 관리한다. 동쪽과 남쪽은 일반적으로 괜찮은 방위지만,

서쪽과 북쪽은 선호되지 않는 방위. 서쪽은 물과 상극이므로 어항이나 생수통•정수기 등은 놓지 말고 신발장은 노란색 계열의 붙박이장이 좋다. 북쪽 현관은 분홍색이나
오렌지색 꽃병처럼 밝고 경쾌한 색으로 밝은 분위기를 연출한다.

4]주방 - 형광등보다 백열등이 좋아

요즘 아파트에서 주방은 대개 북쪽에 많지만, 풍수학적으로는 좋지 않다. 쌀통은
동쪽에 두고, 냉장고나 전자레인지는 흰색이나 흰색 테두리가 있는 것을 고른다.

식탁은 직사각형을 놓고 분홍색이나 오렌지색 큰 꽃으로 장식한다. 북쪽 창문에는
싱싱한 영산홍이나 카네이션 같은 꽃을 화병 가득 꽂아둔다. 형광등보다는 백열등이 좋다.

5]부모님 서쪽 방에 모시면 만년이 행복

부모님을 위한 방은 서쪽 방이 가장 좋다. 마음이 안정되며 만년을 행복하게 보낼 수
있는 방위. 나이 드신 부모님의 건강에 주의한다면 노인의 방으로 최적이다.

6]집 방향 제대로 아는 게 풍수의 시작

집의 방향을 제대로 아는 것이 풍수 인테리어의 시작. 집안 평면도를 그린 후,
평면도를 정확히 4등분해서 생기는 점이 집의 중심점. 이 중심점에 나침반을 놓아 바늘에
따라 각 방위를 표시한다. 거실의 방향이 집 전체의 방위를 말하므로, 거실 창이 남쪽일 때 남향집이 된다.

동낚인 여러분 .....행복 하이십더...........!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원전 해상 콘도 연락처 [9] 개굴아빠 295 0 2021.09.07
공지 제품 소개(판매 대행) 관련 협조 요청 [27] 개굴아빠 685 0 2012.11.26
공지 [경축] 동낚인 회원 욕지도 운임 약 50% 할인 [267] 개굴아빠 6414 8 2009.11.13
공지 [안내] 사용 약관 및 개인 정보 보호에 관한 안내 [19] 개굴아빠 497 1 2009.08.26
공지 [안내] 회원 등급 관련 [263] 개굴아빠 2342 7 2009.08.26
공지 동낚인은...... [151] 개굴아빠 8794 106 2005.10.15
5450 바다시인 회원은 [10] 개굴아빠 466 13 2005.10.01
5449 [re] ㅠㅠ 제가 꼴에 낚시꾼입니다.. [1] 뽈레기 200 5 2005.10.01
5448 이렇게 허무할수가...... [2] 거제골초 247 7 2005.10.02
5447 질문하나 드립니다. [4] file 거제골초 213 6 2005.10.02
5446 진해만 전어 [9] file 개굴아빠 337 7 2005.10.02
5445 무서운 파도 [9] 화백 256 11 2005.10.03
5444 뽈락대 잘 구매하였습니다. [3] Oo파란바다oO 378 13 2005.10.03
5443 번개 모임 공지 [39] 개굴아빠 493 5 2005.10.04
5442 [re] 낚시 장비 [2] 대청마루 200 12 2005.10.04
5441 [re] 발전기및 밧데리 수명은...? [4] 조류 227 8 2005.10.04
5440 생일? [1] 비도미 166 16 2005.10.05
5439 모임은 잘 치렀는지??? [8] 화이트 218 10 2005.10.06
5438 벙개 모임 후기... [11] 행복 291 6 2005.10.06
5437 담 모임은 언제 쯤? 정말 뵙고 싶습니다.. [3] 당참 176 8 2005.10.06
5436 [펌] 대변항 방파제 실종 낚시객 숨진채 발견 [5] 행복 206 12 2005.10.06
5435 10/5일 거제횟집 출조 [12] file 플라이 정 314 23 2005.10.06
5434 [펌]남해군 갯지렁이 사육 소득원으로 본격 개발 [1] 행복 165 16 2005.10.07
5433 동낚인 홈피 정식 open 1개월에 즈음하여.... [12] 전갈자리™ 252 13 2005.10.07
5432 [펌] 우리시에서도 갯지렁이 양식 사업을 한다고 하네요. [1] 계절따라 163 14 2005.10.07
5431 영화 좋아하시면 이렇게 해 보세요. [6] file 개굴아빠 224 9 2005.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