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악수

악수는 서구적인 인사로 우리 나라에서도 생활화되었다.

원래 악수는 빈손을 내밀어 자신의 손에 칼이나 무기같은 것이 없다는 것을 보여
줌으로써 상대방에게 우호적인 감정을 나타내기 위한 데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악수할 때의 주의할 점은 다음과 같다.

① 악수는 인사할 때 사람과 사람이 손을 마주잡고 정을 느낄 수 있게 해야 한다.
② 악수를 할 때는 수줍어하지 말고 당당하게 한다.
③ 반드시 선 자세로 오른손을 내밀어 자연스럽고 가볍게 쥐는 것이 예의이다.
④ 처음에는 가볍게 쥐고 차차 손에 힘을 주어 서로의 정성과 호의를
   나타내어야 한다.
⑤ 손을 쥐는 시간은 장소와 친밀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은 2~3초
   가량이 적당하다.
⑥ 악수할 때에는 상대방의 눈이나 얼굴을 주목하도록 하며 절을
   같이 할 필요는 없다.
⑦ 허리를 너무 뒤로 젖히지 않고 상체를 다소 앞으로 기울이는 듯한
   기분으로 한다.
⑧ 손을 너무 꼭 쥐거나 손끝만 힘없이 내미는 것도 실례가 된다.
⑨ 악수 할 때 꼭 잡고 크게 흔드는 것도 경망스러워 좋지 않다.
⑩ 손에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은 땀을 닦는 것이 바람직하다.
⑪ 악수는 사회적 신분이 높은 사람이나 연장자 또는 여성이 먼저
   청하는 것이 예의이나, 사회관계 속에서 남성이 먼저 악수를
   청할 때 응하는 것이 예의이다.
⑫ 신분이 높은 사람이 연소자일 경우에는 연장자라도 먼저 손을
   내밀어서는 실례가 된다.
⑬ 이성간에 악수할 때에는 여성이 먼저 손을 내밀되, 이때 남성이
   장갑을 끼고 있으면 반드시 벗는 것이 예의이다.
   여성의 예장(禮裝)으로서의 장갑은 실내에서도 벗지 않는다.
⑭ 나이에 차이가 많거나 사회적 신분이 대단히 높은 사람과 악수할
   때에는 오른손 손목을 왼손으로 가볍게 잡고 받들어 모시는 듯한
   동작을 취하는 것이 정중함을 나타내는 자세이다.
⑮ 슬픈 일, 좋지 않은 일에 있어서는 절대로 악수하지 말아야 한다.

    출처 : 한국예절문화원

profile